본문 바로가기

붓가는대로

서오릉

10월9일 수요일 맑음
한글창제 573돌
훈민정음(訓民正音)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일제 강점기에 말살했던 지명과 산 그리고 동리이름
창덕궁 등 궁궐 이름을 우리 고유의 명칭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
생활속에 깊이 뿌리 박힌 언어도 우리 것으로 되돌려 놓는데
모든 국민들이 발벗고 나서야 한다.
한글날 아내와 집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서오릉을 다녀왔네요
서오릉에는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릉과
수경원, 순창원 2원 그리고 대빈묘가 있다.
경릉은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창릉은 제8대 예종과 안순왕후
익릉은 숙종비 인경왕후
명릉은 19대 숙종과 두번째 왕비 인현왕후,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홍릉은 영조비 정성왕후
순창원은 제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원
수경원은 추존 장조(사도세자) 생모 영빈 이씨의 원
대빈묘는 경종 생모 옥산부 대빈 장씨(장희빈)의 묘
릉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
원園은 왕이나 왕비의 자리에 오르지 못한 임금의 부모나 왕세자 내외의 무덤
묘墓는 대군이나 공주, 후궁의 무덤을 말한다.
서오릉은 사적 제198조로 지정되어 있다.
장릉 강원도 영월 단종의 릉
사릉 경기 남양주 진건읍 단종비 정순왕후의 능
헌릉 서울 서초구 태종과 태종비 원경왕후의 능
영릉 경기 여주시 능서면 세종과 세종왕비 소헌왕후의 능
경기 구리시 동구릉 태조 이성계의 능인 건원릉을 비롯한
9기가 모셔져 있다.
경기 남양주시에 모셔진 고종황제 홍릉과 순종황제 유릉이 있고
경기 화성시에는 융건릉이 위치해 있다.
영조의 둘째아들 장조 사도세자와 부인헌경왕후의 융릉
정조와 정조의 왕비인 효의왕후 김씨의 릉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두번째 계비인 문정왕후 윤씨의 릉인 서울 노원구 화랑로에 위치하고 있는 태릉과 명종과 인순왕후의 강릉이 위치해 있다.
제 8대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의 공릉이
경기 파주시 조리읍에 위치해 있다.
경기 고양시에 서삼릉(효릉, 예릉, 희릉)과 파주 삼릉(공릉, 순릉, 영릉), 남양주 광릉,  양주 온릉, 김포 장릉, 서울 의릉, 서울 정릉
500년 역사의 조선시대 왕조의 무덤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어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명릉
숙종과 두번째 왕비인 인현왕후 그리고 세번째 왕비인 인원왕후가 모셔져 있다.
경릉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소혜왕후는 서원부원군 한확의 딸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자 인수대비가 되었다.
익릉
제9대 숙종의 첫째 왕비인 인경왕후의 능
광성부원군 김만기의 딸

순창원
제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원
윤옥의 딸
수경원
추존 장조(사도세자) 생모 영빈 이씨의 원
이유번의 딸
영조의 후궁이 되었다.
창릉과 홍릉 그리고 제 19대 숙종의 후궁이자 20대 경종의 생모 옥산부대빈 장씨(장희빈)의 묘는 사진을 담지 못해 올리지 못했네요
훅종의 후궁으로 경종을 낳아 희빈이 되었다.
대빈묘는 서오릉 외진 곳에 릉이나 원이 아닌 장희빈의 묘이다.
서오릉을 다 돌아보는데 대략 2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서어나무 길과 소나무길을 따라 공기가 맑고 청량한 가을에 산책을 하는 것은 색다른 매력이 아닌가 싶네요
주변에 다양한 먹거리도 있습니다.
고양시 거주민들은 입장료(2,000원)가 반값이라는 것을 참고로 알아두셔요

올 가을엔 서오릉 산책을 권합니다.

'붓가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소음은 이렇게 하면 되는 것  (0) 2020.12.22
첫눈  (0) 2020.11.24
실미도 다녀왔어요  (0) 2019.10.04
8월의 마지막 날  (0) 2019.09.01
운동  (0) 2019.08.30